본문 바로가기

승공 통일사상

(18)
공산주의 ◑ 공산주의 1) 이 지구상에 있어서 제일 큰 사건이 벌어졌는데 그 사건이 바로 공산주의의 출현입니다. ▣ 1969.2.2(일) 나의 뜻과 신념. 전본부교회.- 제2차 세계순회노정을 떠나시기 전 말씀. 22-176 다음으로 이 지구상에 있어서 제일 큰 사건이 벌어졌는데 그 사건이 바로 공산주의의 출현입니다. 이것이 왜 큰 사건이냐? 엄연히 살아 있는 하나님을 죽었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공산주의는 하나님께서 엄연히 살아 계시는데도 불구하고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죄 중에 제일 큰 죄가 무엇이냐 하면 분명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눈이 시퍼렇게 살아 있는데 그 사람을 죽었다고 하면, 원수 중의 원수가 되는 것입니다. 자기 부모가 살아 있는데도 부모가 죽었다고 하면, 그 이상 불..
중간 위치에 있는 타락인간을 하나님은 어떻게 사탄으로부터 분립하시는가? ◑ 원리강론 서론1. 탕감복귀원리1) 탕감복귀 242 우리는 먼저 인간이 그의 타락으로 인하여 하나님과 사탄 사이에서 어떠한 입장에 서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알아야 하겠다. 원래 인간 시조가 타락하지 않고 완성되어서 하나님과 심정의 일체를 이루었더라면 그들은 하나님만을 대하고 사는 입장에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타락하여서 사탄과 혈연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사탄도 대해야 하는 입장에 서게 된 것이었다. 따라서 타락 직후 아직 원죄만 있었을 뿐 다른 어떠한 선행도 악행도 하지 않았던 아담과 해와는 하나님도 대할 수 있고 사탄도 대할 수 있는 중간위치에 서하게 되었었다.  * 따라서 타락 사회에 있어서는 예수는 믿지 않았어도 양심적인 생활을 한 사람이면 그는 이렇듯 중간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사탄이 그를..
탕감조건은 어떠한 방법으로 세우느냐? - 반대의 경로. ◑ 원리강론서론 1. 탕감복귀원리 246  탕감조건은 어떠한 방법으로 세우느냐 하는 문제다. 무엇이든지 본래의 위치와 상태로부터 떠난 입장에서 원상으로 복귀하려면 그것들로부터 떠나게 된 경로와 반대의 경로를 취하는 탕감 조건을 세워야 한다. 예)  이스라엘 선민들이 예수님을 미워하여 그를 십자가에 내줌으로써 벌을 받게 되었기 때문에 그들이 그 입장으로부터 다시 구원을 받아 선민의 입장으로 복귀하기 위하여는 앞서와는 반대로 예수님을 사랑하고 그를 위하여 스스로 십자가를 지는 자리에 나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눅 14:27)  * 한편 인간은 하나님의 뜻을 배반하고 타락함으로써 하나님을 서럽게 해 드렸다. 이것을 탕감복귀하기 위하여는 우리가 반대로 하나님의 뜻을 좇아 실천함으로써 창조 본성의 인간으로 복귀..
제1장 창조원리 제4절 창조본연의 가치 - 3. 사랑과 미. 선과 악. 의와 불의 제1장 창조원리 제4절 창조본연의 가치 3. 사랑과 미. 선과 악. 의와 불의 ◑  사랑과 미 - 원리강론 52하나님으로부터 분립된 이성의 실체가 상대 기준을 조성하여 수수작용을 함으로써 사위기대를 이루려 할 때, 그들이 하나님의 제3대상으로 합성일체화 하기 위하여 주체가 대상에게 주는 정적인 힘을 사랑이고 하고, 대상이 주체에게 돌리는 정적인 힘을 미라고 한다. 그러므로 사랑의 힘은 動的이요, 미의 자극은 靜的이다. * 하나님과 인간 : 하나님은 사랑의 주체, 인간은 미의 대상 * 남녀 : 남자는 사랑의 주체, 여자는 미의 대상 * 인간과 만물 : 인간은 사랑의 주체、만물은 미의 대상 * 주체와 대상이 합성일체화하면 미에도 사랑이, 사랑에도 미가 내포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주체와 대상이 서로 돌아서 일..
제1장 창조원리 제4절 창조본연의 가치 ◑ 제4절 창조 본연의 가치 - 원리강론 40 1. 창조 본연의 가치 결정과 그 가치의 기준 창조 본연의 가치는 어떻게 결정되는 것일까? 어떤 개성체의 창조 본연의 가치는 그 자체 내에 절대적인 것으로 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개성체가 하나님의 창조 이상을 중심하고 어떠한 대상으로 존재하는 목적과 그것을 대하는 인간 주체의 창조 본연의 가치 추구욕이 상대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결정됩니다. 따라서 어떤 대상이 창조 본연의 가치를 가지기 위하여는 그것이 인간 주체와 수수작용에 의하여 합성 일체화함으로써 하나님의 제3대상이 되어 창조 본연의 사위기대를 이루지 않으면 아니 됩니다. 그러면 창조 본연의 가치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창조 본연의 창조 본연의 가치는 어떤 대상과 인간 주체가 하나님을 중심하..
제7장 기독론 제1절 창조목적을 완성한 인간의 가치 ▶ 성서가 있는 것은 인간이 완전해지기 위한 것이며 역사가 있는 것은 인간이 완전해 자기 위함이다.  ▣ 1965.10.7(목) 복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동경교회. - 화동회 때 질의응답.  015-149 성서가 있는 것은 인간이 완전해지기 위한 것이며 역사가 있는 것은 인간이 완전해지기 위함이다. 섭리가 있는 것은 세계를 개선하기 위함이며 인간을 완성시키기 위함이다. 모든 聖典이 인간의 완성 기준을 잘 가르치지 못하면 그것들은 참된 가르침이 아니다.   ▶ 진실로 인간의 완성이 불가능하다면 인간의 존재가치는 비참한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 1986.5.15(목) 리틀엔젤스 예술회관.  교회 일치는 참사랑에서부터. - 미국 성직자. 4차 통일원리세미나. 145-266 그렇다면 인간의 완성, 완성..
만유원력과 수수작용 ● 원리강론 제2절 만유원력 萬有原力과 수수작용 授受作用  및 사위기대  ◑ 만유원력 ♠ 원리강론 제1장 창조원리 제2절 만유원력 萬有原力과 수수작용 授受作用  및 사위기대   29 하나님은 모든 존재의 창조주로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영원히 자존하시는 절대자이시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이러한 존재로 계시기 위한 근본적인 힘도 영원히 자존하는 절대적인 것이며 동시에 이것은 또 피조물이 존재하기 위한 모든 힘을 발생케 하는 힘의 근본이기도 하다. 이러한 힘의 근본 된 힘을 우리는 만유원력이라고 한다.   ※ 통일사상 제1장 原相論 30쪽 1. 神相 * 성상 - 내적 성상과 내적 형상 * 형상 - 소재적 요소. 무한 응형성(물: 물이 무형인 것은 무한형이기 때문이다.)- 본형상을 과학적 용어로 표현한다면 ..
生心과 肉心과의 관계로 본 인간의 마음 ◑ 원리강론 제1장 창조원리 제6절 인간을 중심한 무형실체세계와 무형실체세계3. 육신과 영인체와의 상대적 관계3) 生心과 肉心과의 관계로 본 인간의 마음.   69 생심과 육심과의 관계는 성상과 형상과의 관계와 같아서 그것들이 하나님을 중심하고 수수작용을 하여 합성 일체화하면 영인체와 육신을 합성 일체화하게 하여 창조목적을 지향하게 하는 하나의 작용체를 이루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인간의 마음이다. 인간은 타락되어 하나님을 모르게 됨에 따라 선의 절대적인 기준도 알지 못하게 되었으나 위와 같이 창조된 본성에 의하여 인간의 마음은 항상 자기가 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지향하는 것이니 이것을 양심이라고 한다. 그런데 타락 인간은 선의 절대적인 기준을 알지 못하여 양심의 절대적인 기준도 세울 수 없기 때문에  양..
복귀의 법칙 7가지. ◑ 통일사상 제8장 역사론 485쪽 2. 복귀의 법칙 1) 탕감의 법칙타락이란 인간이 본래의 위치와 상태를 잃어버린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복귀란 그 잃어버린 본래의 위치와 상태를 다시 회복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래의 위치와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복귀를 위한 그 조건을 탕감조건이라고 한다. 인간이 세워야 할 이 탕감조건은 첫째로 믿음의 기대요 둘째로 실체기대이다.  2) 분립의 법칙 3) 4수 복귀의 법칙 4) 조건적 섭리의 법칙 5) 거짓과 참의 선후의 법칙 6) 종의 횡적 전개의 법칙 7) 동시성 섭리의 법칙
우주의 법칙 7가지. ◑ 제2장 존재론5. 우주의 법칙 - 통일사상 221 우주를 지배하고 있는 법칙을 천도라도 하는데 이것은 주체와 대상의 원만한 수수작용을 말한다. 우주의 수수작용의 법칙에는 다음과 같은 7개의 특징 또는 소법칙이 있다.  1) 상대성의 법칙모든 존재는 그 자체 내부에 주체와 대상이라는 상대적 요소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밖으로 다른 존재와도 주체와 대상의 상대적 관계를 맺고 있다. 이것이 상대성이다. 이와 같은 상대성을 갖지 않으면 만물은 존재하거나 발전할 수 없다.  2) 목적성과 중심성주체와 대상의 상대적 요소는 반드시 공동목적을 갖고 있으며(목적성) 그 목적을 중심으로(중심성) 수수작용을 하고 있다.  3) 질서성과 위치성모든 개체는 각자가 존재하는 위치 즉 격위가 주어져 있으며(질서성) 그러한 ..